1. 퇴직연금 시장과 현황
미국의 401(k) 퇴직연금 계좌는 약 9조 달러, 더 넓은 정의기여형(Defined Contribution) 퇴직연금 전체로 보면 약 12조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자산을 운용하는 시장입니다
기존에는 주로 주식, 채권, 뮤추얼펀드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으며, 암호화폐나 부동산, 사모펀드 같은 대체 자산은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이었습니다.
2. 트럼프 행정명령: 401(k)에 암호화폐 포함
2025년 8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01(k) 퇴직연금 계좌에 암호화폐, 부동산, 사모펀드 등 다양한 대체 자산 투자 허용을 내용으로 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명령은, 연방 노동부(DOL), 증권거래위원회(SEC), 재무부 등 관계 부처에 ERISA(퇴직소득 보장법) 하의 기존 규제·지침을 재검토하도록 지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조치로 인해 약 12조 달러에 달하는 퇴직연금 자금이 암호화폐 등 새로운 투자 분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셈입니다 .
3. 대응과 전망: 왜 지금인가?
다양한 자산으로 포트폴리오 다변화
트럼프 행정부는 자산 운용의 폭을 확장해 투자 기회를 넓히려는 의도를 갖고 있습니다. 암호화폐와 대체자산은 높은 수익 잠재력과 함께 기존 투자 구조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고 평가됩니다.
규제 완화 흐름 가속
이번 행정명령은 앞서 바이든 행정부 시절에는 제한적이었던 암호화폐 포함 지침을 뒤집은 조치를 한층 구체화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대체자산 운용사들의 기대감
블랙스톤, KKR, 블랙록, 아폴로 등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401(k) 시장 진출을 모색 중이며, 이번 명령은 그들에게 새로운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처를 열어줄 수 있습니다 .
4. 기회인가, 리스크인가?
기회 요인
- 일반 투자자들도 암호화폐 등 고위험·고수익 자산에 제도권 내에서 접근할 길이 마련됩니다.
-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잠재적인 장기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 암호화폐는 고변동성과 낮은 유동성이 특징이며, 퇴직자금이라는 성격상 큰 손실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높은 수수료, 과도한 레버리지, 가치 평가의 어려움 등도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전문가 의견
금융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투자가 가능해진다고 해서 무분별하게 배분하는 것은 피하고 1–2% 수준의 제한적인 투자 비중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또한, 운용사에게는 새로운 법적 책임과 주의 의무(fiduciary duty)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
5.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 401(k) 퇴직연금 시장이 암호화폐를 포함한 대체자산 투자에 문을 여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약 12조 달러 규모의 자금이 장기적으로 새로운 투자 기회를 향해 흘러갈 가능성이 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그러나 변동성, 규제 리스크, 투자자 보호 장치의 부재와 같은 과제들도 함께 존재합니다. 앞으로 연방 관계 기관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규제·지침을 정립해나갈지가 향후 실제 시장 적용에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https://www.ft.com/content/42f7e2fc-5b42-4f36-ab1d-ea0f72f29468?utm_source=chatgpt.com
Donald Trump opens US 401Ks to crypto and private equity investments
Move is expected to fuel growth of alternative asset industry but will expose Americans’ retirement funds to higher risks
www.ft.com
'코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도미넌스 60.00% 깨지기 직전 (63) | 2025.08.09 |
---|---|
Ibiza Final Boss 코인: Web3와 음악, 문화의 융합 (164) | 2025.08.08 |
Memefi 코인(Memefi Coin)이란? (68) | 2025.08.07 |
석싱트 코인(PROVE) Coin 에 대해서. (84) | 2025.08.07 |
NUB(Nubcat 코인): 밈코인 그 이상의 존재. (144) | 2025.08.07 |